민폐 없는 중년의 기술

[상상속의 역사] 구석기인과 신석기인들의 건강상태 비교.

ettsb1 2024. 12. 2. 23:49
반응형

구석기는 이동 생활을 했다. 보통 먹을 것을 찾아 30~40km 이동했다. 또한 사냥을 하면서 쫓고 쫓기며 엄청 뛰어다녔을 것이다. 반면 신석기에는 농경, 목축을 시작했다. 그래서 정착 생활이 증가하였고 구석기처럼 그렇게 먼 거리를 이동하지 않았다. 여기서 생활 방식이 바뀌며 운동량에도 변화가 일어났는데 이로 인해 구석기에서 신석기로 넘어가면서 당시 인간들의 건강상태 변화를 상상해 보았다.

 

건강상의 긍정적 변화
일단 농업의 발달로 안정적인 식량 공급이 가능해졌다. 이는 기아와 영양 결핍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또한 정착 생활은 질병이나 위험 요소로부터 보다 안전한 환경을 제공했다.

건강상의 부정적 변화
농업과 정착 생활로 인해 활동량은 분명 감소했다. 이는 근골격계 질환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구석기시대의 식단은 다양하고 영양가가 높았지만, 신석기시대에는 주로 곡물 위주의 식단으로 변화하여 영양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었을 것이다. 정착 생활로 인해 인구 밀도가 높아지면서 감염병 전파의 위험이 증가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신석기시대로의 전환은 인간에게 여러 위험과 불확실성으로부터 안정을 제공했다. 그러나 활동량의 감소, 인구 밀도가 높아지면서 새로운 질병과 감염병의 위험을 안게 되었다.

반응형